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육사회 : 거시적 관점 , 기능론과 갈등론

교육학

by 워니니 2020. 3. 31. 22:40

본문

1. 기능론

뒤르켐의 교육사회화에 따른 기능론에서 교육의 기능

 

  • 개념 :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사회의 각 부분이 상호의존적이면서 상호 독립적이다. 또한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는 각 부분이 전체의 유지에 기여하는 속성을 가진다. 

  • 특징
  1. 유기체설
  2. 독립적이며 상호의존적이다.
  3. 사회를 안정하려는 속성을 가지며 각 부분이 전체 유지에 기여한다.
  4. 교육을 통하여 계층 이동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즉, 능력주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사회 평등에 기여)
  5. 교육의 목적은 사회화와 사회적 선발을 통하여 질서의 유지, 통합, 안정에 기여한다.
  • 사회의 본질
  1. 구조와 기능
  2. 통합
  3. 안정
  4. 합의
  • 주요 이론
  • 기술기능이론(Clack & Kerr)

    개념 : 산업사회의 계속된 기술 발달로 인하여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교학력의 사회로 진행된다. 그러나 학력 수준에 비하여 낮은 임금이나 낮은 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의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사회의 기술적 정도에 따라 학교의 팽창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

    X 과잉학력현상 : 고학력자들이 자신의 학력에 맞는 직업이 아닌 저임금 즉 낮은 계층으로 살아가는 현상

 

  • 인간 자본론

    개념 : 인간자본의 투자를 통하여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개인의 향상뿐 아니라 국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이론. 즉 학력에 따른 수입의 차이는 교육에 의한 지식과 기술의 차이 때문이라는 이론.
    (교육은 투자의 대상이 된다.)

 

 

  • 기능론 이론에 대한 비판
  1.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한다.
  2. 사회의 개혁보다는 기존의 질서 범위 내에서 안정을 지향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3. 교육 선발이 능력본위로 이루어진다는 가정은 선발과정의 귀속적 측면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4. 인지적 측면을 중시하여 인성교육 또는 전인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다.
  5. 학생들의 개별성보다는 공통성 내지 유사성을 강조함으로써 학교교육을 규격화한다.
  6. 교육의 본질적 기능보다는 수단적 기능을 중시한다.
  7. 다양한 관심과 이념, 그리고 갈등하는 이익집단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통합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집단 간의 갈등을 잘 다루지 못한다.
  8. 학급의 역동성과 같은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치는가에 대한 내용을 잘 다루지 못한다.

2. 갈등론

 

  • 개념 : 교육을 통한 계급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입장. 또는 사회의 본질을 갈등과 변동 강제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관점, 즉 기능론이 학교 교육을 통하여 사회의 안정이 이루어진다는 입장인 반면 이는 인간의 욕구는 무한함에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인간 간의 갈등은 불가피하며 사호는 계속 변동한다는 입장.
  • 사회의 본질
  1. 갈등
  2. 변화
  3. 강제
  • 주요 이론 :
  • 교육에 대한 기본 가정
  1.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바라본다.
  2. 교육의 기능을 밝히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이 학교교육을 통해서 어떻게 유지되고 강화되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3. 교육은 기득권의 기존 사회의 구조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경제적 재생산 이론(Bowles & Gintis) 보울스 & 긴티스

    개념 : 학교교육이 경제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고 정당화한다고 보는 관점 (즉, 학교교육과 사회적 입장이 대응됨으로 대응 이론 = 대응 원리 = 상응이론 라고 한다.)

    X 대응원리 : 노동의 사회적 관계와 교육의 사회적 관계가 서로 대응한다.(작업장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에서의 사회적 관계에 그대로 반영된다.)

  • 종속이론(Carnoy) 카노이

    개념 : 학교교육을 경제, 정치권력의 종속변수로 파악한다. 즉 한 나라의 경제와 정치가 타국에 종속되어 있으면 학교교육도 타국에 종속될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

    제3세계 국가의 발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국제적 권력관계라고 보는 관점이다.

  • 급진적 저항 이론

    개념 : 교육을 통하여 의식화 및 인간성 해방을 강조한다.

    대표자 : 
    1. 프레이리(P.Freire) : 전통적인 학교교육 즉 은행 적금식 교육을 비판하고 그에 대안으로 문제제기식 교육을 강조한다. 이는 불평등 구조를 타파할 수 있는 힘을 기를 것을 주장한다.

    2. 일리치(llich) - 탈학교 운동 : 현대 교육의 문제 즉 입시위주, 지식 위주의 교육을 비판하면서 학교의 해체를 주장한다. 또한 학교망을 주장하였다.
    ※ 학습망 : 학교제도를 대치할 수 있는 학습망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의 획일적인 학교 중심의 교육제도에 벗어나서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학습방법과 과정을 말한다.
  • 지위 경쟁이론(Weber & Collins) 웨버와 콜린스

개념 : 학력이 사회적 지위 획득의 수단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경쟁적으로 높은 학력을 계속 취득하려 한다. 결국 학력은 계속 상승되고 학교 팽창이 발생한다.

 

  • 이론의 공헌점 
  1. 학교와 사회의 모순점을 명확하게 지적한다.
  2. 자본주의 사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높여 주었다. 학교는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지배집단의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도구이다.
  3.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학교 내에서가 아니라 학교와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찾고 있다.
  • 이론의 비판점
  1. 교육이 생산관계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다는 경제적 결정론에 빠져있다.
  2. 기존의 교육에 대한 강력한 비판에 비해 그에 대한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3. 사회구조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교육을 지배자에게만 봉사하는 것처럼 규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육의 본질적인 모습을 왜곡 과장할 수 있다.
  4. 개인의 자유의지를 무시하고 사회적 조건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다.
  5. 자본주의 사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은 있으나 사회주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은 없다.
  6. 학교교육의 공헌을 전혀 무시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