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욕구가 동기를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욕구의 5단계를 인간에게 중요한 순서대로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하위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상위 욕구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생리적 욕구 | 인간의 삶 그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적인 욕구로 의, 식, 주, 성, 수면의 욕구등을 말한다. |
안전의 욕구 | 신체적인 위협이나 공포, 불안등으로 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로서 예측성, 질서, 안전의 욕구를 말한다. |
사회적 욕구 | 소속에 대한 욕구로서 사회적 존재로서 대인관계나, 애정에 대한 욕구를 말한다. |
존중의 욕구 | 타인에 대한 자신의 존중, 지위에대한 인정 등의 욕구를 말한다. |
자아실현의 욕구 |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이는 지적, 심미적 욕구등을 모두 포함안다. |
개념 : 만족과 불만족을 주는 요인을 관찰하면서 발견한 만족 요인과 불만족 요인에 관한 구조이다.
인간의 욕구를 동기요인과 위생 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동기 요인은 만족 요인으로 직무 만족에 기여하는 요인이다. 즉 동기 요인이 충족되지 않으면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없으며 충족될 시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위생 요인은 불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충족되지 않을 경우 직무에 불만족을 가져온다.
개념 : 인간의 욕구를 생존의 욕구, 관계의 욕구, 성장의 욕구르 구분하여 욕구가 조직에서 구성원의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론
생존욕구(Existence) |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욕구로 메슬로우의 생리적, 안전의 욕구에 해당한다. |
관계욕구(Relatedness) | 사회적 존재로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려 하는 욕구 메슬로우의 대인관계에서의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타인으로 부터 존중 받고 싶은 욕구에 해당한다. |
성장욕구(Growth) | 인간이 성장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하는 욕구 즉 메슬로우의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 해당한다. |
※ 메슬로우의 이론과 차이점
개념 : 동기 부여는 유인가와 기대로 인하여 나타난다. 즉 인간의 동기는 노력을 하면 성과를 얻을 것이라는 성과 기대와 성과로 인해 얻게 될 보상에 대한 보상기대 를 곱한 값이며, 양자 즉 성과기대와 보상 기대는 개인이 느끼고 있는 유인가에 의하여 조정된다.
가장 강력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세 가지 요인의 조합은 높은 긍정적 유인가, 높은 보상 기대, 높은 성과 기대이다.
교육적 시사점 :
개념 : 사회적 비교 이론을 토대로 직무 동기를 설명한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투입과 성과의 비율을 타인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동일한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지만, 불공평하다고 느끼면 공정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동기화한다.
- 이는 사회적 비교 이론으로 스스로 다른 사람에 비해 어느 정도 공정하게 대우를 받고 있는가를 지각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공정성 회복을 위한 행동유형
교육적 시사점 :
개념 : 인간의 행위는 두 가지 인식 (가치, 의도)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인간은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정서와 욕망을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의도나 목표가 정해지면 이것이 실제 행위나 성과를 결정한다. 즉 목표가 실제 행위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동기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를 주는 요인이 된다.
목표(의도)가 가져야 하는 성격 :
교육사회 : 신교육사회학, 뒤르켐, 파슨스 (0) | 2020.03.31 |
---|---|
교육사회 : 거시적 관점 , 기능론과 갈등론 (0) | 2020.03.31 |
교육행정 : 지도성 이론 (0) | 2020.03.26 |
진로지도 : 개념, 진로상담 이론 (0) | 2020.03.24 |
생활지도 : 실제 (0) | 2020.03.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