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론 | 지도자로서 타고난 특성이 있다고 보고 지도자의 특성과 자질을 분석하려는 접근 하지만 그 구성원에 대한 관심이 없다는 단점을 한계로 지적받고 있다. |
행위론 | 지도자가 어떤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지도자가 나타내는 행동을 기술한다. 효과적인 지도자와 비효과적인 지도자의 행위를 비교하여 지도자의 행위양식을 유형화하였다. |
상황론 | 특성이론은 상황을 경시하였고, 행위론은 단순한 이원론적 접근을 취해 복잡한 현대사회에 불충분하다. 그렇기에 상황적 지도성론은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지도성은 없다'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
개념 :
상황의 호의성 : 상황이 지도자로 하여금 집단에 대하여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
개념 : 구성원의 성숙도(준비도)에 따라 지도성 유형을 달리해야 한다.
구성원의 성숙도(x축)에 따라 지도성의 형태(y축)를 결정한다.
개념 : 상황에 따라 지도성이 대체 또는 억제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이론
개념 : 구성원의 성장욕구를 자극하여 동기화시킴으로써 구성원의 태도와 신념을 변화시키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지도성이다.
개념 : 학교는 구조적 의미에서 이완 결합체이지만, 문화적 의미에서는 확고하게 결합되어있다. 그래서 교사와 학생들은 상호 공유하는 규범, 가치, 신념 의미 체계라는 학교의 문화에 의해 더 잘 움직여진다.
이는 학교의 독특한 문화를 창출할 때 발현되는 지도성이다. 또한 구성원의 의미 추구 욕구를 만족하는, 학교에서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개념 : 초우량 지도성이 지향하는 바와 유사하다. 즉 지도자는 도덕성을 바탕으로 지도성을 발휘해야 한다. 구성원은 자율성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조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지도성을 말한다.
다시 말해, 지도자의 도덕성과 구성원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구성원 각자를 셀프리더가 되도록 자극하는 지도자들의 지도자로서 궁극적으로 도덕적 이교 효과적인 조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개념 : 지도자와 구성원, 상황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서 지도성이 분산되어 실행되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도덕적 지도성 이론과 초우량적 지도성 이론의 공통점은 구성원의 자율적인 통제와 동기를 강조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차이점으로는 도덕적 지도성 이론은 지도자의 도덕성을 강조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교육사회 : 거시적 관점 , 기능론과 갈등론 (0) | 2020.03.31 |
---|---|
교육행정 : 동기이론 (0) | 2020.03.26 |
진로지도 : 개념, 진로상담 이론 (0) | 2020.03.24 |
생활지도 : 실제 (0) | 2020.03.24 |
생활지도 : 생활지도의 이해 (0) | 2020.03.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