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진로를 발달시키는 과정
단계
인식 단계 | 자아에 대한 인식 자신의 소질이나 흥미를 발견 다양한 직업의 의식 일과 직엄에 대한 자긍심의 발견 일과 직업 수행을 위한 지식, 기술습득의 필요성 인식 |
탐색 단계 | 자아개념의 명료화 진학 및 직업 준비 교육 직업의 분류 및 직업군 탐색 자기의 의사결정에 관련된 요소 인식 가치 있고 지속적인 사회적 제도로서의 직업의 이해 |
준비 단계 | 자아개념의 구체화 기본기능의 계속적인 숙달, 활용, 응용력의 강조 진로 목표에 적합한 계획수립 일에 대한 가치 획득 구체적인 진로계획의 수립과 졸업 후의 환경에 대비 |
전문화 단계 | 구체적 직업 관련 지식과 특수기술 개발 재교육, 현직교육, 승진을 위한 기술 훈련과정 제공 직업인의 긍지와 보람, 직업윤리와 가치관 정립 피고용인으로서 의미 있는 인간관계 형성 전문직에 고용될 수 있는 전문가의 능력 배양 |
1. 구조론적 이론
특성요인 이론 : 흥미나 능력, 적성 등 개인적 특성이 바로 직업의 특성과 일치하기 때문에 직업을 선택한다는 이론이다.
단계
욕구 이론 : 개인의 욕구가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다. - 개인의 욕구는 아동기 부모의 양육방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즉 인간지향적 성격의 양육 받은 아동은 : 인간지향적 성격의 직업을 가진다.
비인간지향적비인간 지향적 성격의 양육을 받은 아동은 : 비인간 지향적 직업 즉 기술직, 옥외활동직, 과학직 등을 가진다.
성격이론 : 홀랜드의 성격 이론
2. 발달론적 이론
긴즈버그의 진로발달이론
개념 : 직업선택이란 삶의 어느 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발달하는 일련의 의사결정이라고 본다.
수퍼(Super)의 진로발달이론
개념 : 직업 발달 과정에서 본질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자아개념이라고 본다. 인간은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직업을 선택하며, 이런 의미에서 직업선택은 자아개념의 실행이라고 본다.
교육행정 : 동기이론 (0) | 2020.03.26 |
---|---|
교육행정 : 지도성 이론 (0) | 2020.03.26 |
생활지도 : 실제 (0) | 2020.03.24 |
생활지도 : 생활지도의 이해 (0) | 2020.03.24 |
교육평가 : 마인드맵 - 알마인드 (0) | 2020.03.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