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본 | 특징 |
아비투스적 문화자본 (=체제화된 문화자본) |
아비투스 : 개인에게 내면화되고, 체제화된 문화적 취향으로 특정한 사회적 환경에 의해 획득된 성향을 뜻한다. 예를 들어 사고, 인지, 판단, 행동의 도식을 말하며, 계급, 교육환경에 따라 후천적으로 습득되는 취향이다. 상징적 폭력 : 이러한 특정 계급의 아비투스적 문화자산을 다른 계급에게 강요, 강제적으로 주입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
제도화죈 문화자본 | 시험성적, 졸업장, 자극증, 학위증 등 교육제도에 의해서 획득된 문화자본을 뜻한다. |
객관화된 문화자본 | 물질적인 문화자본을 뜻한다. 즉 소유적 형태로 존재하는 거으로 고서, 에술품, 골동품등을 말한다. |
이념적 국가기구 | 학교, 대중매체, 교회, 가정, 법률, 정치 노동조합, 문화, 등 규범과 가치와 관련된 모든 것들 |
강제적 국가기구 | 경찰, 군대, 정부, 사법제도 등 마르크스가 본 국가 |
생략 |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는 몰라도 된다고 하면서 생략하는 방식("이부분은 몰라도 된다") |
신비화 | 복잡한 주제는 전문가만이 알 수 있다고 말하면서 신비화시키는 방법("이건 전문가만 아는거니깐 그냥 외우면되") |
단편화 | 어떤 주제든지 서로 연결되지 않는 단편들이나 목록들로 환원시키는 방법 교사는 수많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그 정보를 사실로 보이게 하여 토론이나 반대의견을 금지시키기 위해 단편적인 지식과 목록을 사용 |
방어적 단순화 | 어려운 주제는 가능한 단순화시켜 간단히 언급만 하고 넘어가는 방법("이거는 별로 어렵지 않으니 넘어가자") |
보편적 사회화 |
사회 전체적인 가치와 규범을 새로운 세대에 내면화하는 것 (한국인이라면....) |
특수적 사회화 |
특정 사회체제에 부응하는 가치와 규범, 능력을 내면화하는 것 (교육자가 되려면,,,,, 또는 예술가가 되려면,,,,) |
독립성 | 과제를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배우는 것 |
성취성 |
자신의 노력이나 의도보다는 성과에 따라 대우받는다는 것을 배우는 것 즉 최선을 다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에 행동하는 것 |
보편성 | 모두에게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배운다. |
특수성 | 특수한 상황에서는 그에 맞게 규칙이 변경되어 적용됨을 배운다. |
교육과정 총론 :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0) | 2020.04.07 |
---|---|
교육과정 총론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테스트 (0) | 2020.04.03 |
교육사회 : 거시적 관점 , 기능론과 갈등론 (0) | 2020.03.31 |
교육행정 : 동기이론 (0) | 2020.03.26 |
교육행정 : 지도성 이론 (0) | 2020.03.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