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육평가 : 평가도구의 양호도

교육학

by 워니니 2020. 3. 18. 17:32

본문

평가도구를 선정할 때는 그 양호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양호도란 타당도와 신뢰도를 뜻한다. 타당도는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신뢰도는 평가를 얼마나 오차 없이 측정하고 있는가를 뜻한다.

 


1. 타당도

 

개념 : 검사가 본래 평가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는 정도를 뜻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키를 측정하고자 할 때 팔 길이를 재면서 키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평가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타당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종류 : 

내용 타당도

내용의 충실성 정도를 평가 즉 교육목표를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가

이원 목적 분류표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세분화한다. 그에 따라 문항이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

 

준거타당도 공인 타당도

관련된 두 검사와의 일치도를 파악
즉, 새로 제작된 검사로 기존의 검사를 대체할 때 사용한다.

예언 타당도 미래 행동을 예언하는 정도
예를들어 모의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실제 비행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구인 타당도 조작적으로 정의한 구인 즉 직접적으로 관찰 할 수 없는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타당도
결과 타당도 검사결과의 교육효과 달정 정도를 측정한다.
검사나 평가를 실시하고 난 결과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

 

2. 신뢰도

 

개념 : 검사가 얼마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말한다. 이는 검사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나타낸다.

 

측정 방법 : 

재검사 신뢰도 한 검사를 시간적 차이를 두고 두번 실시하여 얻은 점수를 기초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동형검사 신뢰도 두 검사의 내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두개의 동형 검사지를 제작하여 같은 집단데 두번 실시하는 방법
반분 신뢰도 한개의 검사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독립된 검사로 취급하여 상관계수를 측정하는 신뢰도 측정방법
문항 내적 신뢰도 검사 속 각각의 문항을 하나의 검사로 취급하여 그 합치성, 동질성, 일치성을 종합하여 상관계수로 나타내는 방법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 

  1. 시험의 문항 수를 늘린다 
  2. 객관식 문제에서 답지의 수를 늘린다.
  3. 학습내용을 골고루 출제한다.
  4. 검사 문항을 동질적으로 구성한다.
  5. 문항의 난이도를 적절하게 한다. (50%)
  6. 문항의 변별도를 높인다.
  7. 객관적인 채점 방법을 사용한다.(교사의 주관성을 배재)
  8. 시험의 범위를 좁게 하여 문항의 동질성을 줄인다.
  9. 집단의 변산도 즉 표준편차를 크게 한다.

<평가문항의 유의점>

 

  • 객관식 선택형 문항 제작 시 유의사항
  1. 정답은 분명하게, 오답은 그럴듯하게 만든다.
  2. 답지 사이의 중복을 피한다.
  3. 답지의 길이는 비슷하게 한다.
  4. 모두 정답 또는 정답 없음 이 정답이 되는 답지도 사용하되 제한적으로 한다.
  5. 문항은 자세하게 답지는 간결하게 표현한다.
  6. 정답에 대한 단서를 주지 말아야 한다.
  7. 문항은 가급적 긍정문으로 진술한다.
  8. 정답의 위치는 다양성이 있게 한다.
  9. 문항과 답지는 내용상 관련이 있어야 한다. 
  10. 한 문항 내의 답지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하고, 다른 문항의 답지와도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
  11. 전문적인 용어 사용을 피한다. 전문적인 용어의 사용은 문항의 적절한 난이도 유지를 곤란하게 한다.
  12. 형용사, 부사의 질적 표현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 주관식 문항의 채점 시 유의사항
  1. 채점 기준을 미리 정한다.(모범 답지를 미리 만들기)
  2. 채점 시 편견이나 착오가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후광효과의 방지)
  3.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채점한다.(내용의 불확정성 효과 방지와 답안 과장 효과 방지)
  4. 충분한 시간을 갖고 채점한다.(채점자의 피로 방지)
  5. 단위별로 채점하지 않고 평가문항별로 채점한다.(순서 효과 방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