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도구를 선정할 때는 그 양호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양호도란 타당도와 신뢰도를 뜻한다. 타당도는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신뢰도는 평가를 얼마나 오차 없이 측정하고 있는가를 뜻한다.
1. 타당도
개념 : 검사가 본래 평가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는 정도를 뜻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키를 측정하고자 할 때 팔 길이를 재면서 키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평가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타당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종류 :
내용 타당도 |
내용의 충실성 정도를 평가 즉 교육목표를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가 이원 목적 분류표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세분화한다. 그에 따라 문항이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
|
|
준거타당도 | 공인 타당도 |
관련된 두 검사와의 일치도를 파악 |
예언 타당도 | 미래 행동을 예언하는 정도 예를들어 모의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실제 비행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
|
구인 타당도 | 조작적으로 정의한 구인 즉 직접적으로 관찰 할 수 없는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타당도 | |
결과 타당도 | 검사결과의 교육효과 달정 정도를 측정한다. 검사나 평가를 실시하고 난 결과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 |
2. 신뢰도
개념 : 검사가 얼마나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말한다. 이는 검사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나타낸다.
측정 방법 :
재검사 신뢰도 | 한 검사를 시간적 차이를 두고 두번 실시하여 얻은 점수를 기초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
동형검사 신뢰도 | 두 검사의 내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두개의 동형 검사지를 제작하여 같은 집단데 두번 실시하는 방법 |
반분 신뢰도 | 한개의 검사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독립된 검사로 취급하여 상관계수를 측정하는 신뢰도 측정방법 |
문항 내적 신뢰도 | 검사 속 각각의 문항을 하나의 검사로 취급하여 그 합치성, 동질성, 일치성을 종합하여 상관계수로 나타내는 방법 |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
<평가문항의 유의점>
생활지도 : 생활지도의 이해 (0) | 2020.03.24 |
---|---|
교육평가 : 마인드맵 - 알마인드 (0) | 2020.03.20 |
교육평가 : 평가 시기에 따른 유형 (0) | 2020.03.17 |
교육평가 :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0) | 2020.03.17 |
교육평가 - 평가관, 검사관, 평가의 오류 (0) | 2020.03.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