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교수설계이론이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가는 과정입니다. 즉 객관주의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객관주의는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지식과 지식의 객관성과 절대 불변성을 설명합니다. 그에 반해 구성주의는 개인적, 사회적 경험에 바탕을 둔 개별적 의미의 구성으로 지식의 상대성과 상황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구성주의 교수설계이론 >
개념 : 정해진 목표를 중심으로 시나리오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정해진 목표를 성취하도록 는 교수학습모형입니다.
목표 기반 시나리오의 특징으로는
개념 : 실제 생활과 관련된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여 이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특징 :
구성요소 : (특징과 같은 맥락에서 설명된다.)
개념 : 실제적인 과제를 사용하고 실제적인 맥락과 함께 제시하는 학습이론 즉 지식이 일상생활에 적용되고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설계 원리
개념 : 다른 말로 초보자, 저문가 이론이라고도 한다. 즉 학습자는 전문가의 수행을 관찰, 모방함으로써 전문가의 문제 해결 능력과 사고 과정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업 절차 :
모델링 | 교수자가 과제수행의 시범을 보여주고 전문가의 수행에 초점을 맞추어 외현적 행동을 시연하거나 내재적 인지과정을 명료화해줌 |
코칭 | 과제 수행을 관찰하고 돕는다. |
스캐폴딩 |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 수준을 넘어설 수 있도록 (언어적) 도움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때, 암시, 힌트 등 간접적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도움은 점차 용암 시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명료화 | 학습자 자신의 지식, 기능, 태도, 사고 등을 명백하게 설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협동학습에서 비판자나 감독자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명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
반성(성찰) | 학습자는 자신의 문제해결과정을 교수자의 방법과 비교하여 성찰 |
탐색 | 자신의 문제해결전략을 새로운 문제상황에 적용하고 전이할 수 있도록 한다. |
개념 :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실제 과제와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다차원적인 개념의 지식을 재현한다. 이를 통하여 인지적 유연성을 획득하도록 하는 방법
목적 : 상황 의존적인 스키마의 연합체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수 원칙 :
개념 : 실제 문제 상황을 영상 매체를 통하여 이야기로 제시하여 학습 학생들이 현실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식을 학습하고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교수이론
과제의 성격 :
개념 : 교사와 학생들이 상호 간의 대화를 통하여 독해 전략을 배우는 교수방법
수업전략 :
예측하기 | 다음에 이어질 내용에 대하여 예측하는 기술 |
질문만들기 | 교사와 학생, 학생들 끼리 번갈아 질문을 만들고 대답하기 - 내용에 대한 확인,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에 이르기 까지의 다양한 수준의 질문을 만들고 대답하도록 한다. |
요약하기 | 일근 글의 내용을 각자 자신의 말로 요약하기 - 핵심단어를 찾고 문장과 문장 사이 문단과 문단 사이에 관계를 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
명료화하기 | 요약을 명료화하기 - 어휘의 뜻을 잘못 이해하고 있거나 어려운 개념일 때, 다시 읽어보게 하거나 어휘의 정확한 뜻을 사전이나 질문을 통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개념 : 학습자 스스로 다양한 학습자원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또한 비판적 사고력과 정보 활용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환경 설계
다음으로는 전통적 교수법 예를 들어 팀티칭, 토의법, 문제 해결 학습,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육평가 : 평가 시기에 따른 유형 (0) | 2020.03.17 |
---|---|
교육평가 :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0) | 2020.03.17 |
교육평가 - 평가관, 검사관, 평가의 오류 (0) | 2020.03.17 |
교육방법,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0) | 2020.03.15 |
교육방법 - 교수설계(교수설계모형) (0) | 2020.03.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