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육방법 - 교수설계(교수설계모형)

교육학

by 워니니 2020. 3. 13. 21:59

본문

교수설계의 3대 변인

 

교수의 조건

1. 교과 목표     2. 교과내용의 특성      3. 학습자 특성      4. 제약조건

교수의 방법

조직 전략

1. 미시적 전략

2. 거시적 전략

전달전략 관리전략
교수의 성과

1. 효과성           2. 효율성        3. 매력성          4. 안정성

이 중 교수의 방법에 초점을 맞춰서 교육방법에는 어떤 모형과 어떤 이론이 있는지 공부해보겠습니다.

 


1. 객관주의 교수설계모형 : (객관적이라는 것은 구성이 정해져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ADDIE 모형

Analysis분석

요구 분석 :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의 상태 사이의 차이

과제 분석 : 교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 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Design 설계

수행목표 명세화

평가도구 개발

구조화, 계열화

Development개발

 

Implementation실행

 

Evaluation평가

 
  • 딕과 캐리 교수 체제 설계모형

ADDIE 모형과 비슷하게 교수 분석, 학습자 분석 및 환경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1. 교수

목적

설정

(요구

분석)

2. 교

분석

(과제

분석)

학습자,

환경 분석

수행

목표

진술

평가

도구

개발

교수

전략

개발

교수

자료

개발

형성

평가

실시

교수

프로

그램

수정

총괄

평가

실시

 

<교수 분석 : 과제 분석>

학습목표 유형은

  1. 블룸 : 인지, 정의, 심동
  2. 가네 : 언어, 지적, 인지, 태도, 운동기능
  3. 메릴 : 내용 차원 - 사실, 개념, 절차, 원리 / 수행 차원 - 기억, 활용, 발견

과제 분석의 주요 기법

  1. 군집 분석 - 언어정보일 때 사용
  2. 위계 분석 - 상위 하위 개념일 때 사용
  3. 절차 분석 - 학습의 절차 순서를 분석하는 기법
  4. 통합 분석 - 혼합하는 태도 영역일 때 사용

2. 구성주의 교수설계모형

 

 

 

  •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설계 요소 :

문제/프로젝트 관련 사례 정보자원 인지도구 대화/협력도구 사회적/맥락적지원

교수활동(학습지원):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

 


3. 객관주의 교수설계이론

 

  • 가네의 교수설계이론

학습결과의 유형

언어 정보

개념 : 사실, 개념, 원리 등을 기억하여 언어로 표현

학습방법 : 오슈벨의 유의미 선행 조직자를 제공하여 학습

지적 기능 변별학습 - 개념학습 - 원리학습 - 문제해결학습
인지 전략 학습자 개인의 학습, 기억, 사고, 행동을 조정 통제하는 능력
태도 학습자의 내적, 정신적 경향성
운동 기능 신체근육을 활용하여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

학습의 조건

내적 조건

선행학습능력

학습동기

자아개념

주의집중

외적 조건

강화

접근

연습

9가지 수업의 사태

주의집중
수업목표 제시
선수학습 회상
자극 제시
학습안내 제시
수행 유도
피드백 제공
수행 평가
파지와 전이 증진
  • 메릴의 내용 요소 전시 이론

이는 미시적 교수설계이론으로 - 하나의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징 : 내용 - 수행 행렬 표

 

내용차원

사실

개념

절차

원리

수행차원

기억

발견

활용

를 사용하여 각각에 적절한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자료 제시 형태는 

1차 자료 제시형으로 : 일반성 설명식, 사례 설명식, 일반성 탐구식, 사례 탐구식으로 나눕니다.

 

2차 자료제시형으로 : 1차 보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보다 쉽게 지원해주는 부가적인 자료제시 형태입니다.

(맥락, 선수학습, 기억술, 도움말 표현법 피드백 등이 있습니다.)

 

 

  • 라이갤 루스 - 정교화 이론

이는 미시적 전략의 아이디어들을 거시적 전략으로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먼저 미시적 전략은 

제시

개념의 형성

변별

일반화

연습  
피드백

칭찬, 격려

유도

 

거시적 전략은 7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교화된 계열화 줌렌즈의 방법
선수학습요소의 계열화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기에 앞서 반드시 학습해야하는 선수학습요소를 가르치는 원리
요약자의 사용 복습하는데 사용
종합자의 사용 학습한 내용들을 서로 통합하는데 사용하는 전략
비유의 활용 새로운 학습내용을 친숙한 내용과 관련지어 이해를 돕는다.
인지전략 촉진자 촉진자활용
학습자 통제 학습내용, 학습전략, 인지전략 등을 스스로 서택하고 통제하는 전략

 

  • 켈러의 학습동기 설계이론(ARCS)
주의집중 탐구적 주의환기 전략
다양성 전략
지각적 주의환기 전략
관련성 친밀성 전략
목표지향성 전략
필요나 동기와의 부합 전략
자신감 학습의 필요조건 제시 전략
성공기회 제시 전략
개인적 조절감 증대 전략
만족감 내재적 보상전략
외재적 보상전략
공정성 강조 전략
  • 캐롤의 학교 학습모형

학습의 정도는 학습에 필요한 시간분에 학습에 사용한 시간으로 결정됩니다.

 

개인차 변인 적성 수업이해력 학습지속력
수업변인 교수의 질 학습 기회  

 

  •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 브루너의 발견학습모형

학습과제의 최종적 형태를 관찰 토론 실험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찾게 하는 방법입니다.

 

발견학습의 특징

  1. 지식의 구조에 대한 학습 강조
  2.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을 강조
  3. 학습의 과정 강조
  4. 학습효과의 전이 중시

수업이론의 요소

  1. 지식의 구조
  2. 계열화
  3. 학습 경향성
  4. 강화
  5. 학습자의 사고 자극

발견학습의 조건

  1. 학습 태세
  2. 요구 상태
  3. 관련 정보의 학습
  4. 연습의 다양성

교사의 역할

  1. 탐구 자료 제시
  2. 단서 제공
  3. 비계 설정(ZPD)

다음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