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육방법,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교육학

by 워니니 2020. 3. 15. 00:17

본문

1. 오수 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

 

기본 개념 : 새로운 지식을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에 의미 있게 연결하여 학습하는 교사 중심의 수업이며 설명식 수업.

 

  • 유의미 학습의 조건 : 학습과제, 인지구조, 학습 태세

 

  • 학습과제
  1. 실사 성 : 명제의 설명이 불변의 의미가 되어야 한다. ex)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2. 구속성 : 임의적으로 정해져서 변하지 않는 개념을 뜻합니다. ex)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흔히 '아아'라고 한다.

이러한 학습과제는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 인지구조

인지구 조속 관련 정착 지식은 학습과제를 포섭하는 포섭자의 역할을 한다.

 

이는 잠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 학습 태세

학습 태세는 학습과제를 인지구조에 포섭하려는 학습자의 성향을 뜻한다.

 

이는 심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유의미학습의 조건과 학습과정

 

  • 유의미 학습의 과정
  1.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현상을 포섭이라는 개념으로 설명
  2. 포섭이란 새로운 학습내용을 기존 인지구조에 통합
  3. 포섭은 곧 학습을 의미
  • 포섭 : 
  1. 종속적 포섭 :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하위에 포섭되는 것으로 파생적 포섭(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 정착 지식의 특수사례일 때 발생)과 상관적 포섭(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 정착 지식을 수정, 확장, 정교화하는 포섭)이 있습니다.
  2. 상위적 포섭 :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상위에 포섭되는 것
  3. 병위적 포섭 : 새 학습내용이 기존의 인지구조와 동일한 수평적 관계에 있을 때 발생하는 포섭
  • 유의미 학습의 수업 원리 : 
  1. 선행 조직자의 원리 :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의 정도가 높은 입문적 자료를 새로운 학습과제에 앞서 제시한 다음 인지구조 내에서 관련정착지식의 역할을 수행하며 유의미학습을 촉진합니다. 
    선행조직자의 종류로는 : 설명 조직자(학습자가 새로운 학습과제와 관련된 선행지식이 전혀 없을 때, 생소한 학습과제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조직자 / 비교 조직자(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새로운 학습과제와 유사한 선행지식이 있을 때, 친숙한 학습과제를 활용하는 조직자
  2. 점진적 분화의 원리 :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먼저 제시하고 그다음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자료를 제시
  3. 통합적 조정의 원리 : 새로운 개념은 이전에 학습한 내용과 긴밀한 관련성을 맺으며 통합되도록 제시
  4. 선행학습의 요약정리의 원리 : 새로운 학습을 시작할 때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요약, 정리해주면 학습이 촉진된다.
  5. 내용의 체계적 조직의 원리 : 학습내용이 계열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6. 학습 준비도의 원리 :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포함한 발달 수준에 맞게 제공한다.

 


유의미 학습의 교육적 장점과 단점

 

장단점

  1. 발견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학습노력의 경제성을 향상한다.
  2. 안정된 파지와 높은 학습전이효과를 보인다 -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 있는 기존의 지식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문제 해결을 쉽게 전이할 수 있게 한다.

문제점 : 

  1. 무비판적인 기계적인 수용 학습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객관주의 교수학습이론 중 오수 벨의 유의미 수용 학습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다음은 구성주의 교수설계이론입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