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 새로운 지식을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에 의미 있게 연결하여 학습하는 교사 중심의 수업이며 설명식 수업.
유의미 학습의 조건 : 학습과제, 인지구조, 학습 태세
학습과제 :
실사 성 : 명제의 설명이 불변의 의미가 되어야 한다. ex)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구속성 : 임의적으로 정해져서 변하지 않는 개념을 뜻합니다. ex)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흔히 '아아'라고 한다.
이러한 학습과제는 논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인지구조 :
인지구 조속 관련 정착 지식은 학습과제를 포섭하는 포섭자의 역할을 한다.
이는 잠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학습 태세 :
학습 태세는 학습과제를 인지구조에 포섭하려는 학습자의 성향을 뜻한다.
이는 심리적 유의미가를 가진다.
유의미학습의 조건과 학습과정
유의미 학습의 과정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현상을 포섭이라는 개념으로 설명
포섭이란 새로운 학습내용을 기존 인지구조에 통합
포섭은 곧 학습을 의미
포섭 :
종속적 포섭 :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하위에 포섭되는 것으로 파생적 포섭(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 정착 지식의 특수사례일 때 발생)과 상관적 포섭(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관련 정착 지식을 수정, 확장, 정교화하는 포섭)이 있습니다.
상위적 포섭 :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상위에 포섭되는 것
병위적 포섭 : 새 학습내용이 기존의 인지구조와 동일한 수평적 관계에 있을 때 발생하는 포섭
유의미 학습의 수업 원리 :
선행 조직자의 원리 : 수업의 도입단계에서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의 정도가 높은 입문적 자료를 새로운 학습과제에 앞서 제시한 다음 인지구조 내에서 관련정착지식의 역할을 수행하며 유의미학습을 촉진합니다. 선행조직자의 종류로는 : 설명 조직자(학습자가 새로운 학습과제와 관련된 선행지식이 전혀 없을 때, 생소한 학습과제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조직자 / 비교 조직자(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새로운 학습과제와 유사한 선행지식이 있을 때, 친숙한 학습과제를 활용하는 조직자
점진적 분화의 원리 :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먼저 제시하고 그다음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자료를 제시
통합적 조정의 원리 : 새로운 개념은 이전에 학습한 내용과 긴밀한 관련성을 맺으며 통합되도록 제시
선행학습의 요약정리의 원리 : 새로운 학습을 시작할 때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요약, 정리해주면 학습이 촉진된다.
내용의 체계적 조직의 원리 : 학습내용이 계열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학습 준비도의 원리 :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포함한 발달 수준에 맞게 제공한다.
유의미 학습의 교육적 장점과 단점
장단점 :
발견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학습노력의 경제성을 향상한다.
안정된 파지와 높은 학습전이효과를 보인다 -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 있는 기존의 지식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문제 해결을 쉽게 전이할 수 있게 한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