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폐스펙트럼장애 : DSM - 5 진단준거

특수교육

by 워니니 2020. 3. 25. 21:50

본문

1. DSM-5 진단 준거

 

자폐스펙트럼 장애 정의 :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

 

A :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1. 사회적, 감정적(정서적) 상호성에서의 결함(EX/ 비정상적인 사회적 접근과 정상적인 대화의 실패, 흥미나 감정의 공유)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EX/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불완전한 통합, 비정상적인 눈 맞춤과 몸짓 언어)
  3. 관계 발전,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EX/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적응적 행동의 어려움, 상상 놀이를 공유, 친구를 사귀기가 어려움)

B :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이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 항목 가운데 적어도 2가지 이상 나타난다.

  1.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적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EX/ 장난감 정렬하기, 반향어, 특이한 문구의 사용)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의례적인 언어나 비언어적 행동(EX/ 작은 변화에 어려움, 완고한 사고방식, 의례적인 인사, 같은 길로만 등교하기)
  3. 강도나 초점이 비정상적인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EX/ 특이한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 또는 집착,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런 흥미)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 반응, 또는 환경의 감각 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EX/ 통증에 대한 무관심, 특정 소리에 부정적인 반응 보이기)

C : 증상은 반드시 초기 발달 시기부터 나타나야한다.

 

D : 이러한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초래한다.

 

E : 이러한 장애는 지적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자주 동반된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지적장애를 함께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사소통이 전반적인 발달 수준에 기대되는 것보다 저하되어야 한다.

 

※ 주의점 : DSM-4TR의 진단 기준 상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은 광범위성 발달장애로 진단된 경우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진단이 내려져야 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뚜렷한 결함이 있으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른 진단 항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로 평가해야 한다.

 

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심각도 수준

 

심각도 수준 사회적 의사소통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1단계

'지원이 필요한 수준'

지원이 없을 때에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함이 분명한 손상을 야기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사회적 접근에 대한 비전형적인 반응이나 성공적이지 않은 반응을 보인다.

예를 들어 완전한 문장을 말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의사소통에 참여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주고받는 대에 실패할 수 있으며, 친구를 만들기 위한 시도는 괴상하고 대개 실패한다.

융통성 없는 행동이 한가지 그이상 분야에서 기능을 확연히 방해한다. 활동 전환이 어렵다. 조직력과 계획력의 문제는 독립을 방해한다.

2단계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수준'

언어적, 비언어적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뚜렷한 결함, 지원을 해도 명백한 사회적 손상이 있으면서 사회적 의사소통의 시작이 제한되었다. 사회적 접근에 대해 감소된 혹은 비정상적인 반을 보인다. 

예를들어 단순한 문장 정도만 말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상호작용이 편협한 특정 관심사에만 제한되어 있고, 기이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두렷하게 나타난다.

융통성 없는 행동, 변화에 대처하는 데 극심한 어려움, 다른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 우연히 관찰한 사람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자주 나타나며, 다양한 분야의 기능을 방해한다. 집중 또는 행동 변화에 고통과 어려움이 있다.

3단계

'상당히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수준'

언어적, 비언어적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심각한 결함이 있고, 이로 인해 심각한 기능상의 손상이 야기된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맺는 데 극도로 제한적이며, 사회적 접근에 대해 최소한의 반응을 보인다. 예를 들어, 이해할 수 있는 말이 극소소의 단어뿐인 사람으로서, 좀처럼 상호작용을 시작하지 않으며, 만일 상호작용을 하더라도 오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이상한 방식으로 접근을 하며, 매우 직접적인 사회적 접근에만 반응한다. 융통성 없는 행동, 변화에 대처하는 데 극심한 어려움, 다른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 모든 분야에서 기능을 하는 데 뚜렷한 방해를 한다. 집중 또는 행동 변화에 극심한 고통과 어려움이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