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행동수정, 행동 감소를 위한 수준별 대안, 1. 강화 중심 전략

특수교육

by 워니니 2020. 3. 13. 20:32

본문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준별 전략

 

원칙 : 

  1. 최소 강제성 대안의 원칙 : 행동 감소를 위한 전략을 사용할 때는 가장 최소한의 강제성을 가지면서 가장 덜 혐오적인 전략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2. 행동의 기능에 근거한 중재 : 기능 확인이 가능하다면 행동의 기능에 근거하여 중재가 선정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문제행동이 다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수준 : 강화 중심 전략

 

  • 저 비율 차별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s of behavior : DRL)

비율은 빈도와 같이 해석됩니다. 즉 문제행동의 횟수를 줄이면서 이에 도달할 때 차별적으로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시간에 10번 자리에서 일어나는 학생을 대상으로 8번 일어났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해주고 점차 문제행동의 빈도를 줄여나가면서 차별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다시 말해 기준 변경 설계와 비슷한 방식입니다.

 

유형으로는 

  1. 전체 회기 저비율 차별 강화
  2. 간격 저 비율 차별 강화
  3. 반응 간격 저 비율 차별 강화

로 나누어집니다.

 

  • 다른 행동 차별 강화(differen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 DRO)

다른 행동 차별 강화에서 O는 행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문제행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면 1시간 수업에 자리 일어나는 행동을 전혀 보이지 않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유형 : 

  1. 전체 회기 다른 행동 차별 강화
  2. 간격 다른 행동 차별 강화
  3. 영구적 산물 자료와의 결합

등이 있습니다. 

 

특징 : 

  1.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문제행동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표적 행동의 발생 여부에만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문제행동이 발생하였을 때도 표적 행동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받는 강화가 사전에 고려하지 못한 문제행동에 우연히 강화될 수 있습니다. 
  2. 행동의 진공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학생 입장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강화를 받을 수 있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아무 행동도 하지 못하는 진공상태와 같음을 뜻합니다. 이 때는 대체행동 차별 강화와 같이 사용하면 좋습니다.
  3. 제공받는 강화가 문제행동으로 얻는 강화보다 효과가 강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즉 교사는 아동의 흥미를 고려하여 적절한 강화제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 상반 행동 차별강화(de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 DRI)

상반 행동 차별 강화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행동에 근거하여 차별 강화한다는 뜻입니다. 즉 정반대의 행동에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책상을 두드리는 문제행동에 손을 들고 질문하는 행동은 양립할 수 없는 행동이기에 차별 강화하는 것입니다.

 

  • 대체행동 차별 강화(defferential reinforcement of alternative behavior. : DRA)

대체행동 차별 강화는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바람직한 행동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를 때리는 문제행동의 기능이 화장실 가기라면 이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못하는 행동이기에 손을 드는 대체행동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조건 : 

  1. 대체행동과 문제행동의 기능은 동일해야 합니다.
  2. 대체행동은 문제행동보다 힘들 덜 들이고도 즉각적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3. 대체행동이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 비유관 강화(noncontingent reinforcement : NCR)

비유관 강화는 앞선 조건에 따른 강화와는 다르게 문제행동의 발생과는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지금까지 문제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강화를 제공하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입니다.

 

  • 동기화 조작

동기화 조작 전략은 강화의 가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1. 동기화 설정 조작 : 동기를 유발하여 행동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2. 동기화 해지 조작 : 문제행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해지하는 전략입니다.

동기화 조작 전략에 대해서는 최근 각론에 추가된 내용이라 자세한 개념은 깊이 있게 공부하여 다시 한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