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준별 전략
원칙 :
1 수준 : 강화 중심 전략
비율은 빈도와 같이 해석됩니다. 즉 문제행동의 횟수를 줄이면서 이에 도달할 때 차별적으로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시간에 10번 자리에서 일어나는 학생을 대상으로 8번 일어났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해주고 점차 문제행동의 빈도를 줄여나가면서 차별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다시 말해 기준 변경 설계와 비슷한 방식입니다.
유형으로는
로 나누어집니다.
다른 행동 차별 강화에서 O는 행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문제행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면 1시간 수업에 자리 일어나는 행동을 전혀 보이지 않을 때 차별 강화를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유형 :
등이 있습니다.
특징 :
상반 행동 차별 강화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행동에 근거하여 차별 강화한다는 뜻입니다. 즉 정반대의 행동에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책상을 두드리는 문제행동에 손을 들고 질문하는 행동은 양립할 수 없는 행동이기에 차별 강화하는 것입니다.
대체행동 차별 강화는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바람직한 행동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를 때리는 문제행동의 기능이 화장실 가기라면 이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못하는 행동이기에 손을 드는 대체행동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조건 :
비유관 강화는 앞선 조건에 따른 강화와는 다르게 문제행동의 발생과는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지금까지 문제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강화를 제공하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입니다.
동기화 조작 전략은 강화의 가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동기화 조작 전략에 대해서는 최근 각론에 추가된 내용이라 자세한 개념은 깊이 있게 공부하여 다시 한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동수정 : 행동의 정의 (0) | 2020.03.16 |
---|---|
행동수정, 행동 감소를 위한 수준별 대안, 2수준 소거 (0) | 2020.03.13 |
행동수정, 행동연쇄법과 행동형성법 (0) | 2020.03.13 |
행동수정, 새로운 행동의 습득, 시각적 촉진과 가외자극 촉구의 구분 (0) | 2020.03.13 |
행동수정,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토큰제도, 행동계약, 집단강화, 고확률 요구연속 (0) | 2020.03.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