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을 크게 나누면 1.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2. 새로운 행동의 습득 3. 행동 감소를 위한 수준별 대안 4. 행동의 정의와 목표 5. 자료의 수집(행동의 직접 관찰과 측정) 6. 단일 대상 연구설계 7. 변화된 행동의 일반화 8. 자기 관리 기술
9. 긍정적 행동지원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행동의 습득을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촉구
촉구는 아동이 오반응을 보인 후 정반응을 나타내도록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촉구를 두가지 유형으로 나타나자면 반응 촉구와 자극 촉구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응 촉구의 종류로는 정도가 약한 것부터
< 시각적 촉구 - 언어적 촉구 - 몸짓 촉구 - 모델링 촉구 - 신체적 촉구 - 혼합된 촉구>
가 있습니다.
자극 촉구의 유형으로는 자극 외 촉구(가외 촉구)와 자극 내 촉구가 있습니다.
1) 시각적 촉진과 가외 촉진의 구분이 모호하다.
화장실에 그림을 붙여 놓는 것은 시각적 촉진이 될 수도, 가외 촉구도 될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두 촉진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하자면
시각적 촉진은 독립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언어적 촉구의 사용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외 촉구는 변별 자극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식탁보에 포크와 나이프 그림을 추가하여 아동이 포크와 나이프를 올바른 곳에 놓는 정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시각적 촉진은 수업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순서 등을 나타낼 경우 주로 사용하고 가외 자극 촉진은 행동의 결과에 대해 결괏값을 제시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2. 용암
용암은 촉구를 제거해나가는 과정을 뜻합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독립적으로 변별 자극에 대해 바람직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뜻합니다. 또한 촉진 체계라고도 합니다.
반응 촉구 체계 유형
시간 지연 법의 두 가지 유형으로
2) 동시 촉구와 0초 시간 지연은 같은 말인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다릅니다.
동시 촉구는 시간 지연 법 내에서 사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개념을 물을 때 나타낼 수 있고 0초시간지연은 시간지연법 내에서 0초 시간 지연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궁극적으로 같은 의미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행동수정, 행동 감소를 위한 수준별 대안, 1. 강화 중심 전략 (0) | 2020.03.13 |
---|---|
행동수정, 행동연쇄법과 행동형성법 (0) | 2020.03.13 |
행동수정,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토큰제도, 행동계약, 집단강화, 고확률 요구연속 (0) | 2020.03.12 |
행동수정,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강화와 벌, (0) | 2020.03.11 |
안 질환이 실명으로 이어진다. 망막색소변성, 망막박리 등 (0) | 2020.03.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