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운동말장애
운동말장애는 말장애의 유형으로 신경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말장애로 말실행증과 마비말장애로 유형을 나눈다.
말실행증(Opraxia of Speech : AOS)
중추신경계의 결함으로 나타나는 장애로 근육의 마비나 약화 현상 없이 조음기관의 위치를 프로그래밍하거나 일련의 조음운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말쟁애이다.
특성
1. 모색 현상 : 올바른 발음을 하기 위하여 발화 시 입술을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정확한 조음의 위치나 방법을 찾는 현상
2. 명제발화 : 질문을 듣고 대답을 즉각적으로 구성해서 말하는 발화
3. 자동발화 : 숫자세기, 인사말하기
4. 교대운동속도(Alternate Motion Rate : AMR) : 퍼, 터, 커 등 한 음절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하는 것
5. 인련운동속도 : 퍼,터,커 등의 세 음절을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하는 것
마비말장애
언어적인 측면의 손상이 없다. 단순히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말기제의 근육조정 장애로 나타나는 말장애를 말한다.
Q1. 말실행증과 마비말장애의 특성 구분
말실행증은 비일관적인 조음 오류를 보인다. 조음 음운장애의 원인중 기질적 원인에서 중추신경계의 이상 중 마비말장애와 말 실행증으로 나뉠 때 기질적 특성이 나타내는 일관적인 조음의 오류는 말실행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즉 말 실행증은 비일관적인 조음 오류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유심히 관찰하고 이해해야 한다.
Q2. 교대운동속도와 일련운동속도를 포함하는 검사
교호 운동능력 검사(Diadocochokinesis)
교호 운동능력 검사는 구강조음 기관의 운동 능력을 측정하는 조음검사로서, 흔히 '퍼', '터', '커' 와 같은 동이란 음절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음절 조합의 속도와 정확성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행동수정 : 대처 및 인내기술 (0) | 2020.05.01 |
---|---|
의사소통장애 : 언어 상동증 vs 언어보속증 - 실어증 (1) | 2020.04.15 |
의사소통장애 : 말장애 (0) | 2020.04.13 |
의사소통장애 : 언어의 요소 (0) | 2020.04.13 |
의사소통장애 : 정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이해 (0) | 2020.04.13 |
댓글 영역